컨텐츠 바로가기


board


현재 위치

  1. 게시판
  2. 뉴스/이벤트

뉴스/이벤트

뉴스와 이벤트입니다.

올해 전자부품 구매 계획 살펴보니
제목 올해 전자부품 구매 계획 살펴보니
작성자 관리자 (ip:)
  • 작성일 2007-02-20 12:04:53
  • 추천 추천 하기
  • 조회수 801
  • 평점 0점

 

 

15일 오후 2시 서울 구로동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 대·중소기업 협력확대의 일환으로 한국전자산업진흥회(회장 윤종용)가 마련한 전자부품 구매계획 설명회가 성황리에 열렸다. 전자부품업체 140여개사가 참여한 이번 행사에서는 삼성전자·LG전자·대우일렉·인켈·삼보컴퓨터 등 주요 5개 전자업체의 전자제품 생산 목표와 전자부품 구매 계획이 발표됐다. 이날 행사에는 산업자원부가 올해 디지털산업 전망과 정책지원 방향 등을 제시했다. 주요 대기업 2·3차 협력업체와 전자부품 전문업체의 올해 사업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발표 내용을 요약한다.

◇총 구매액은 3.2% 증가한 37조5000억원=올해 국내 주요 5개 전자업체의 부품구매량은 총 37조5393억원 규모로 나타났다. 이는 전년에 비해 3.2% 늘어난 규모다. 부문별로는 휴대폰용 부품이 16조326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LCD·PDP 패널용 부품이 7조7981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. 모니터를 포함한 TV용 부품 구매 계획은 3조4405억원, HDD용이 2조7508억원 등이다.

전년에 비해 구매가 들어날 품목으로는 셋톱박스용 부품이 66.4%의 성장률로 가장 높았다. HDD용(36.9%)과 프린터(23.1%)용 부품 등도 고성장이 예상되는 분야다. 반면 TV용 부품 구매는 22.0% 줄어들고 VCR(-15.5%), DVDP(-68.6%), 오디오(-10.0%), 청소기·전자레인지(-7.8%) 용 부품 구매도 전년보다 감소할 분야로 꼽혔다. 휴대폰용(7.2%)과 에어컨용(6.0%), PC용(1.9%) 등도 소폭 구매 확대가 예상됐다.

한편, 5개 전자업체의 올해 생산규모는 62조6556억원에 이를 전망이다. 이 가운데 수출은 41조6379억원, 내수판매는 11조181억원으로 추정됐다. 금액 기준으로 생산은 2.7%, 수출은 2.4%, 국내판매는 4.0% 늘어난 수준이다.

◇삼성 23조원, LG 13조원 부품 구매=삼성전자는 올해 전년보다 2.5% 증가한 23조3263억원의 전자부품 구매 계획을 밝혔다. LG전자는 4.6% 증가한 12조9568억원의 부품 구매를 계획하고 있다. 단순 부품구매 증가율에서는 LG전자가 높지만 절대 구매 규모에서는 삼성전자의 비중이 월등하다. 삼성전자·LG전자 양사는 종합 전자산업 대표 업체답게 TV와 모니터·휴대폰·냉장고 등은 물론 셋톱박스·광기록재생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부품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.

대우일렉은 1조302억원의 구매계획으로 전년에 비해 2.1%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. 대우일렉의 부품구매 대상은 TV·DVDP·냉장고·전자레인지·세탁기 등 백색 가전이 주를 이뤘다.

이밖에 삼보컴퓨터는 전년보다 15.0% 늘어난 1585억원의 공격적인 부품구매 계획을 밝혔다. 이는 모니터·프린터·복합기 등 완제품을 제외한 PC에서의 수요만 잡은 것이다. 오디오·통신중계기 중심의 이트로닉스는 6.9%늘어난 673억원의 전자부품 구매계획을 내놨다.

전자산업진흥회 김현기 차장은 “5개사 모두 전년보다 많은 전자부품 구매 계획을 밝힌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”며 “획기적인 수요 확대는 없지만 대기업의 안정적인 전자부품 구매 확대는 중견·중소 부품업체의 사업 안정화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”고 말했다.

◇국산 부품의 구매비중은 65%=주요 5개사는 올해 전자부품 도입 목표 가운데 65.0%는 국내에서, 35.0%는 수입에 의존할 것으로 나타났다. 국내 부품 구매 비중이 높을수록 국내 2, 3차 협력업체의 공동 수혜를 예상할 수 있다. 전자산업진흥회는 지난해 국내 부품조달 비중은 61.5%였다고 설명했다.

부문별로 내수 조달비중이 높은 품목은 냉장고(82.2%)와 TV(79.5%), LCD·PDP 패널(76.6%), 청소기·전자레인지(76.5%) 세탁기(75.8%) 등이었다. 반면 HDD(12.9%)와 셋톱박스(23.6%), PC(28.5%), VCR(30.0%) 분야에서는 국내 조달보다는 해외 부품 구매 계획이 월등히 높은 분야였다.

기업체별로는 삼성전자가 전체의 65.3%에 해당하는 15조2403억원의 국내 부품 조달계획을 밝혔다. LG전자는 63.2%인 8조1869억원의 전자부품을 국내에서 조달한다는 목표다. 대우일렉과 인켈은 각각 82.2%, 80.4%에 해당하는 전자부품을 국내에서 사들일 것이라고 밝혀 상대적으로 국산 부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. 반면 PC 위주의 삼보컴퓨터는 해외조달 비중이 60.0%에 달할 것으로 조사됐다.

김승규기자@전자신문, seung@etnews.co.kr



◆산자부 발표내용 요약

: 산업자원부 디지털융합산업팀 고승진 서기관

‘융(融)의 시대’ 도래와 국제 환경규제 강화, 중국의 추격 가속화 및 신흥시장 부상 등이 앞으로 디지털전자산업을 주도할 주요 트렌드로 꼽혔다.

이날 행사에서 산업자원부 디지털융합산업팀 고승진 서기관은 ‘디지털전자산업의 주요 9대 트렌드와 이에 따른 5 가지 정책방향’을 발표했다.

고 서기관은 전자산업의 9대 트렌드로 △개방과 협력의 확대 △전략적 제휴와 빅 인수합병(M&A) 확산 △중국 추격 가속화 및 포스트 브릭스시장 부상 △밸류 체인이 제조에서 R&D와 서비스로 전환 △환경규제 및 환경윤리 강화 △국제특허분쟁의 확대 △표준환경의 변화 △융의 시대 도래 △개별 고객이 중시되는 롱테일 경제 등을 꼽았다.

고 서기관은 “오는 2015년경 중국의 디지털 전자산업이 생산량·생산액 기준 세계 1위 국가로 부상하고 터키·베트남·태국(TVT)과 인도네시아·멕시코 등이 우리 전자산업의 새 수요기반이 될 수 있다”고 설명했다. 또 “향후 디지털산업의 주도권이 조립·가공에서 R&D와 디자인·브랜드·특허권·표준 등으로 전환될 수 있어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”는 점도 강조했다.

산자부는 이같은 트렌드에 맞춰 △한미 FTA를 산업구조 고도화 계기로 활용하고 △디지털 융합 신산업 기반 확충 △차세대 성장동력의 조기 산업화 △전통산업의 고부가가치화 △특허분쟁 및 환경규제 대응능력 강화 등을 주요 정책방향으로 꼽았다.

고 서기관은 “한미 FTA를 통해 비교우위 품목의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고 취약한 분야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”며 “국제 특허분쟁 및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와 대응 조직 보강도 주요 과제가 될 것”이라고 말했다.

첨부파일
비밀번호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.

목록

삭제 수정 답변

댓글 수정

비밀번호

수정 취소

/ byte

댓글 입력

이름 비밀번호 관리자답변보기

확인

/ byte


*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.(대소문자구분)

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.